계량투자 실험실 Quantlab

Global Fixed-income Allocation Model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글로벌 채권 ETF를 활용하여 Global Fixed-income Allocation Model을 설계하였다. 개리 안토나치의 Dual momentum 전략을 기본 골격으로 하였으나, Reinforcement라는 또다른 전략을 추가하여, 투자자 입장에서 좀더 실용적인 Model을 만들고자 하였다. 유니버스 내에서 5개 이상의 종목을 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Sharpe 측면에서 가장 적절하였다.

Cumulative return
cum_base

기대효과:



Background: Dual momentum

Dual momentum은 게리 안토나치(Gary Antonacci)가 2012년 고안한 투자전략의 이름이다. 안토나치는 모멘텀 전략을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안토나치의 실험에 따르면, Absolute momentum 전략은 금융위기 등의 시장 불확실성에 대해 탁월한 방어력이 있다. 반면 Relative momentum 전략은 변동성에 취약하긴 하지만, 기대수익률은 더 높다고 한다.

Absolute + Relative = Dual momentum

안토나치의 아이디어는 위의 두 가지 모멘텀을 동시에 쓰는 것이다. 즉 여러 자산들 중 상대적으로 모멤텀이 큰 자산에 투자하되, 해당 자산의 상승 모멘텀이 약해지면 바로 현금(또는 안전자산)으로 갈아탐으로써, 공격력과 방어력을 동시에 취한다.

Dual momentum 전략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을 참고.


Herding effect

모멘텀 전략은 왜 작동하는 것일까? 가장 잘 알려진 것이 Behavioral finance의 대표적인 Anomaly인 Herding effect이다.

Herding effect
herding

이에 따르면, 과거 일정기간 동안의 Winner가 앞으로도 한동안 Winner가 될 가능성이 높다(Relative momentum). 비슷한 논리로, 오랫동안 상승하던 주식의 가격이 순식간에 고꾸라지는 경우는 드물다. 주식의 현재가치에 급속한 변화가 생겼다고 하더라도, Herding effect는 해당 자산의 가치하락에 마찰적 요인(friction)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는 하락장 초기에 현금성 자산으로 갈아탈 수 있는 기회(Absolute momentum)를 제공한다. 참고로 Herding effect는, 개별종목보다 자산군(Asset class) 레벨에서 훨씬 효과적으로 작동한다고 알려져 있다.


Objectives

안토나치의 논문에는 Dual momentum 전략을 Fixed-income universe에 적용한 사례가 기술되어 있으며, 성과도 상당히 양호하다. 다음은 그의 논문에 실려있는 결과 중 일부이다.

stats_antonacci
cum_antonacci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자면,

하지만 이를 실전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다음의 문제점이 있어 보인다.


따라서 위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모형설계의 지향점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Methodology

유니버스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다음의 24개 ETF를 투자 유니버스로 선정하였다. 대부분의 시가총액이 1조원 이상이다. 참고로, 최초설정일이 다소 최근이더라도, 기초지수(Underlying index)가 충분히 긴 시간동안 존재한다면, 해당 종목을 선정하였다.

As of 2018.04.30

Ticker Description Duration (Year) MarketCap (B,USD) Expense (%) Inception date Underlying start
AGG US Aggregate 6.1 55.2 0.05 2003-09 1976-01
BIL US T-bill 0.2 3.4 0.14 2007-05 1991-12
SHY US Treasury Short 1.9 12.6 0.15 2002-07 2004-12
IEF US Treasury Intermediate 7.5 8.7 0.15 2002-07 2004-12
TLT US Treasury Long 17.5 7.7 0.15 2002-07 2004-12
TIP US Tips 7.8 24.3 0.20 2003-12 1997-03
LQD US Investment grade 8.6 32.1 0.15 2002-07 1998-12
HYG US High yield 3.9 15.1 0.49 2007-04 1998-12
MBB US MBS 5.5 12.1 0.09 2007-03 1976-01
MUB US Muni 4.9 9.0 0.25 2007-09 2007-08
BKLN US Bankloan 4.0 8.3 0.65 2011-03 2001-12
CWB US Convertible   4.3 0.40 2009-04 2003-01
HYD US High yield muni 6.5 2.4 0.35 2009-02 1995-12
PFF US Preferred stock 6.1 16.1 0.47 2007-03 2003-09
BWX Ex-US Treasury local (USD unhedged) 8.0 2.1 0.50 2007-10 2007-09
WIP Ex-US Tips local (USD unhedged) 7.2 0.7 0.50 2008-03 2011-01
BNDX Ex-US Treasury local (USD hedged) 7.8 11.5 0.11 2013-06 2013-01
IGOV Developed Treasury local (USD unhedged) 8.4 1.1 0.35 2009-01 2001-04
FLOT Developed Float-rate USD 1.9 9.1 0.20 2011-06 2003-10
PICB Developed IG local (USD unhedged) 7.5 0.1 0.50 2010-06 2010-04
HYXU Developed HY local (USD unhedged) 3.9 0.1 0.40 2012-04 2009-06
EMB EM Treasury USD 7.3 11.4 0.39 2007-12 1997-12
EMLC EM Treasury local (USD unhedged) 5.2 5.6 0.42 2010-07 2007-12
EMHY EM HY USD 5.8 0.6 0.50 2012-04 2001-10


아이디어

안토나치의 논문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글로벌 채권시장에서 Dual momentum 전략으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CAGR은 US High yield와 유사한 수준변동성은 US High yield의 50% 정도이다. 하지만 이걸로는 부족하다. 이 포스트에서는 채권시장 내 상대적으로 Risky 한 자산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Dual momentum 고유의 기대치를 좀더 상향시킨 모형을 만들고자 한다.

아이디어는 단순하다. 모멘텀 전략은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즉 채권시장보다는 주식시장, 대형주보다는 중소형주, 선진국보다는 이머징 국가에서 모멘텀 전략이 잘 작동한다고 알려져있다. 위의 투자 유니버스에서 TLT(US Treasury Long)의 듀레이션은 17년 이상으로, 유니버스 내에서 가장 길고, 변동성도 높은 편이다. 따라서 이 자산에서 추가적인 모멘텀(아래에서 정의한다)이 확인된다면, 원래의 Dual momentum 전략에 추가하여 포트폴리오를 강화하였다. 즉,

GFAM = Dual momentum + Reinforcement


주요설정

모멘텀 = 12개월 수익률의 100% + 6개월 수익률의 50% + 3개월 수익률의 25%

참고로 이 포스트에서 AGG는 벤치마크와 유사한 의미로 취급하고 있다. 따라서 Absolute momentum이 약해진 경우 최소한 벤치마크는 따라가기 위해 Cash asset을 AGG로 설정하였다. BIL(US T-bill)을 Cash asset으로 정해도 크게 상관은 없으며, 이 경우 아래에 기술되는 백테스트 결과의 CAGR이 소폭 낮아지게 된다.


매매규칙

  1. 투자의사결정: 매월 마지막 영업일
    • Dual momentum
      • Absolute momentum: 모멘텀이 (-) 인 종목을 유니버스에서 제거한다.
      • Relative momentum: 모멘텀 상위 N개의 종목을 선택한다. N은 추후 결정.
    • Reinforcement: Dual momentum에서 선택한 종목의 수가 충분치 않을 때에는,
      • Risky asset의 모멘텀이 (+)이거나 중장기 추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Risky asset으로 나머지 종목 수를 채운다.
      •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Cash asset으로 대신한다.
    • Rank-based weighting: 선택된 종목들의 모멘텀 Ranking에 따라 포트폴리오 비중을 결정한다. 즉 모멘텀이 큰 종목의 비중을 높게, 모멘텀이 작은 종목의 비중을 낮게 조절한다.
  2. 매매: 매월 첫번째 영업일
    • 전일 투자의사결정된 포트폴리오가 전월의 포트폴리오와 다른 경우에 한해, 당일 종가(Adjusted)로 매매한다.
    • 만약 어떤 종목이 시장에서 아직 거래되지 않는다면, 해당 종목의 기초지수를 이용하여 그 종목의 시장가격을 역으로 추정한다.


백테스트

아래에서 언급되는 각 성과지표에 관한 설명은 투자성과의 측정을 참고하기 바란다.

Absolute vs. Relative vs. Dual

우선 N=1 인 경우에 대해, Dual momentum을 구성하는 두 전략, 즉 Absolute momentum과 Relative momentum의 성과를 비교해보자. 다음은 각 전략별 누적수익률 차트이다. Reinforcement 전략은 아직 적용하지 않았다.

Cumulative return
cum_compare_mode


Statistics
stats_compare_mode


Calibration

N을 1부터 10까지 변화시켜가며 Dual momentum 전략의 성과를 측정해보았다.

stats_npicks_1_10
cum_npicks_1_5


Reinforcement

N=5 으로 놓고, Dual momentum에 Reinforcement 전략을 추가해보자. Dual momentum을 기본 골격으로 하되, Dual momentum에 의해 선택된 종목의 수가 부족한 경우, 상대적으로 Risky한 US Treasury Long의 추가편입 여부를 결정하였다.

Cumulative return
cum_compare_reinforce


Evaluation

이제 위의 매매규칙 (= Dual momentum + Reinforcement)에 따라 운용하는 전략을 GFAM (Global Fixed-income Allocation Model)이라고 부르자. 그리고 N=5 에 대해서 해당 전략의 성과를 자세히 측정해보자. 글로벌 주식시장인 ACWI (MSCI All country)와 채권시장인 AGG (US Aggregate),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의 중간격인 HYG (US High yield)를 참고용으로 추가하였다.

Cumulative return
cum_base


Statistics
stats_base

GFAM의 성과 중 특이할 만한 것들만 추려서 얘기하자면,

Risk-return profile
profile_base

그렇다면, GFAM의 연도별 성과는 어땟을까. 다음 차트는 연도별로 GFAM의 누적수익률(전년도 마지막 영업일=1.0)이다. 2018년도는 1~3월 까지의 수익률만 나타내었다.

Yearly cumulative returns
cum_yearly_all

GFAM의 성과가 몇몇 해(2003, 2008, 2009, 2011년)에 다소 과도하게 좋았기 때문에, 다른 해의 성과가 시각적으로 좀 묻히는 경향이 있다 (y축이 동일 스케일이므로). 해당 구간들을 제거한 연도별 누적수익률 차트도 확인해보자.

Yearly cumulative returns excluding 2003, 2008, 2009, 2011
cum_yearly_removed

이제 좀더 명확하게 보인다. 2007년과 2010년을 제외한 대부분의 해에서 US Aggregate보다 나은 성과가 나오고 있다. 변동성이 좀 크긴 하다.

한편 GFAM에 투자했을 때의 단기적(1년)인 기대효과는 어떨까. 아래는 위의 백테스트 기간(약 15년)동안 얻을수 있는 1년 성과를 모두 추출해서, 분포를 그려본 것이다. 투자성과의 측정 중 Rolling stats 참고.

1-Year Rolling Distributions
dist_base

GFAM의 성과를 종목별로 분해해보자. 아래 왼쪽 차트는 GFAM의 1일 수익률을 100이라고 했을 때, 각 종목이 평균적으로 몇 %를 기여했는 지를 나타낸다. 오른쪽 차트는 각 종목이 선택된 총 월수를 의미한다.

Performance breakdown
perf_breakdown


2010년 이후의 성과

2003년 이후로의 백테스트 결과를 잘 살펴보면, 꽤나 신경쓰이는 구간이 있다. 2008년과 2009년이다. 해당 구간동안 GFAM 성과의 변동폭이 컸고, 결과적으로는 (+)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GFAM 고유의 성과를 다소 왜곡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가능하다. 과연 그럴까? 2010년 이후의 성과를 측정하여 확인해보자.

Cumulative return since 2010
cum_since2010


Statistics since 2010
stats_since2010


GFAM(2003년 이후) vs. GFAM(2010년 이후)
stats_compare_since2010
  • CAGR과 Sharpe가 소폭 낮아지긴 했지만, 전구간(2003~) 백테스트 결과보다 열등하다고 보긴 힘들었다. (물론 통계적인 유의도까지 검증한 건 아니다)
  • 오히려 MDD는 큰 폭으로 개선되었으며, 1년 손실가능성은 1% 이하로 축소되었다.


Portfolio history

아래 차트는 2015년 부터 2018년 4월까지 40개월 간의 포트폴리오 변동을 보여준다. 이중 5개월 동안 TLT(US Treasury Long)가 단독으로 편입되었으며, 5개월 동안 Cash asset인 AGG(US Aggregate, 흰색)가 단독 편입되었다.

port_history

단독으로 편입되었다고 해서 실제로 그렇게 운용할 필요는 없다. 미국에는 유사한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많다. 예를들어 TLT와 같은 US Treasury Long-term ETF인 SPTL가 상장되어 있고, 성과도 거의 동등하다.


Drawback: 높은 매매회전율

일반적으로 Dual momentum 전략은 매매회전율(Turnover ratio)이 낮은 편이다. 안토나치는 그의 논문에서, 매매회전률이 평균적으로 200%를 넘지 않는다(즉 포트폴리오 전체가 1년에 2번이상 바뀌지 않는다)고 서술해 놓았다. 사실이다. 하지만 그가 제안한 백테스트에 한해서만 사실이다. 논문의 전략은 대부분 3-4개의 종목에서 한 개를 골라내는 것이었으며, 모멘텀이 높은 종목의 추세는 한동안 지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매매회전률이 낮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 포스트의 모형에서는, 훨씬 넓은 범위의 투자 유니버스에서 여러 종목을 한꺼번에 선택하는 전략을 쓰고 있기 때문에, 매매회전률이 높다. GFAM의 12개월 매매회전률 추이를 계산해보면 아래 차트와 같다. 평균적으로 600%에 육박한다.

turnover


Conclusions

개리 안토나치의 Dual momentum 전략을 바탕으로 GFAM (Global Fixed-income Allocation Model)을 설계하였다. 투자자의 입장에서 유용한 GFAM 전략을 setup 하고 원래의 Dual momentum 을 보완하기 위해서, Reinforcement 전략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그 과정에서, Momentum space에서는 변동성이 높은 자산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사실을 활용하였다. 종목수는 5개 이상이 적절하였다.

GFAM으로 기대되는 성과는 다음과 같다.

한편 GFAM 포트폴리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었다.


Next agenda

후속작업으로 다음의 Allocation model 설계를 진행할 예정이다.

comments powered by Disqus